전체 글 5288

자연과 역사(62), 당진 몽산성과 ‘국가산림문화자산' 시무나무 군락지

시무나무는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나무이다. 한국, 만주가 원산이며 동양에 1속 1종만 있다.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다. 15~30m쯤 자라며 볕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거나 흑회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그린매일 자연과 역사(62), 당진 몽산성과 ‘국가산림문화자산' 시무나무 군락지산림청 ‘국가산림문화자산’ 당진 시무나무 군락지/사진=당진시청시무나무 군락지를 형성한 충남 당진시 면천면 몽산성이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됐다. 몽산성(蒙山城)은 2중 방어벽 형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5.03.12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고흥갯벌’

고흥반도는 한반도 남해, 보성만과 순천만 사이에 돌출된 반도이다. 전역이 전라남도 고흥군에 속해 있고, 북쪽 끝으로 약 2km의 폭이 지협을 통하여 한반도와 연결된다. 고흥갯벌은 여자만의 입구에 위치하며, 오른쪽 육지 방향(만의 끝)으로 벌교갯벌, 순천만갯벌이 이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곳이라 바닷새 등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공유하는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그린매일고흥갯벌(고흥 여자만갯벌)은 전라남도 고흥반도(高興半島) 동쪽 측면, 여자만 주변의 고흥군 동강면, 남양면, 과역면, 점암면, 영남면 등 5개 지역에 펼쳐진 갯벌이다. "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

생명의땅 2025.03.12

[연재] 우아한 봄의 상징 ‘금낭화’, 3월의 ‘우리 꽃 정원식물’

꽃의 생김새가 옛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니던 비단주머니 모양과 비슷하고, 꽃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 있어 금주머니꽃이라는 뜻인 금낭화라 이름 붙여졌으며, 며느리주머니라 부르기도 한다. 영어 이름인 Bleeding heart도 꽃 형태에서 유래했다. 금낭근, 등모란, 토당근으로도 불린다.그린매일 [연재] 우아한 봄의 상징 ‘금낭화’, 3월의 ‘우리 꽃 정원식물’금낭화 /사진=한택식물원산림청 국립수목원이 3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현호색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금낭화(Lamprocapnos spectabilis (L.) T.Fukuhara)’를 선정했다. 금낭화는 독특한 하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