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46

멸종시대(106), 봄의 시작을 알리는 ‘초령목’

초령목의 국내 자생지가 극히 한정적이며 개체수가 적어 환경부가 2012년 멸종위기 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6), 봄의 시작을 알리는 ‘초령목’초령목.사진=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문명옥환경부가 3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목련과 식물 중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초령목(初靈木)을 선정했다.초령목(Michelia compressa Sarg.)은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3.12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

고리도롱뇽의 전체 몸길이는 7~14㎝로 도롱뇽, 제주도롱뇽과 형태는 비슷하나 몸집이 작고, 꼬리 길이가 몸통 길이와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고리도롱뇽은 부산시 기장군 고리발전소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울산, 경남 양산, 경북 경주시 등 경상도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한반도 희귀종이다. 그린매일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고리도룡뇽(주왕산국립공원), 사진=국립공원공단지난달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도룡뇽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9개체가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고리도롱뇽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주왕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6천에서 1만 5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범주인 취약(VU) 등급으로 지정했다. 환경부도 흑두루미를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천수만 흑두루미의 군무 @그린매일/신봉우환경부가 2월의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겨울 철새인 흑두루미를 선정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7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90), 변산반도 백천에서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부안종개’

미꾸리과에 속한 부안종개(Iksookimia pumila)는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깃대종으로 1987년 김익수 전북대 교수가 지역명을 붙여 학계에 처음 보고했다. 과거에는 부안군 일원 수계에서 쉽게 볼 수 있었으나 서식지가 줄어들어 지금은 백천에서만 확인되며, 2012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전라북도 부안군 백천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부안종개의 물살을 헤치며 활동하는 영상을 환경부 국립공원공단이 15일 공"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

생태누리 2024.08.17

멸종위기 ‘해오라비난초’, 자생지 수원 칠보산에서 첫 개화

'해오라비난초(학명 Habenaria radiata)'는 난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이다. 여름철인 7~8월에 흰 꽃이 피는데,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져서 모양새가 해오라기가 날아가는 모양 같아 해오라비난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방언이다. 길고 가느다란 줄기는 최대 45㎝까지 성장하고 꽃 색깔은 대체적으로 희거나 분홍이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멸종위기 ‘해오라비난초’, 자생지 수원 칠보산에서 첫 개화칠보습지 내에서 자생하고있는 해오라비난초/수원시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다’는 꽃말을 가진 희귀식물 해오라비난초가 수원 칠보산에서 처음으로 개화했다.수원시는 멸종위기식물인 해오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4.08.10

멸종시대(88), 숲속을 날아다니는 무지개 ‘팔색조’

팔색조는 벌채 등 산림의 훼손으로 서식지가 줄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만 마리 정도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취약종으로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환경부도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멸종시대(88), 숲속을 날아다니는 무지개 ‘팔색조’팔색조의 육아/사진제공:국립생물자원관환경부가 여름 철새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팔색조를 ‘8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참새목과의 팔색조(Pitta nympha)는 우리나라, 중국, 일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