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매일 153

자연과 역사(58), 통영시 견내량의 무인도서 사도와 선촌마을

사도는 통영시 통영항 동쪽 견내량 해협 중심부에 위치하며, 육지인 선촌마을로부터 불과 0.8km 떨어져 있다. 섬은 고도 약 5m, 길이 200m, 면적 1,261㎡이다. 북동쪽으로 길이 100m, 폭 10n 정도의 모래해안이 분포하며, 섬의 남서쪽에서는 층상구조가 잘 보이는 응회암이 분포한다.그린매일 자연과 역사(58), 통영시 견내량의 무인도서 사도와 선촌마을통영시 견내량 전경(사도와선촌마을), 사진=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해양수산부가 2025년 2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견내량에 위치한 사도(뱀섬)를 선정하였다. 견내량은 임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10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여의샛강’

여의도 빌딩에서 국회의사당 뒤로 흐르는 샛강을 따라 여의샛강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샛강은 모래섬 등에 의해 물줄기가 갈라졌다가 하류에서 원래의 큰 물길로 다시 합쳐지는 작은 지류다. 1997년 조성한 이 공원은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샛강의 저습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생태계를 복원한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이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는 한강밤섬과 마찬가지로 오랜 세월 상류에서 흘러 내려온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한강 하류의 하중"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2..

그린라이프 2024.09.10

생명의 숲(64), 100대 명품숲 ‘영월 태화산 경관숲

태화산(1,027m)은 강원도 영월의 진산으로 영월과 충북 단양군 경계에 있다. 정상 북서쪽 능선 끝자락으로 굽이굽이 곡류하는 남한강이 흐르고 영월읍을 두루 굽어보기 좋은 위치에 ‘태화산성’ 터가 남아있다. 현재 산성은 거의 훼손되었으나 성터에서의 조망이 남한강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숲의 비경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생명의 숲(64), 100대 명품숲 ‘영월 태화산 경관숲’영월 태화산 경관숲/산림청가을로 접어들었다지만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9월, 남한강과 어우러진 조망이 아름다운 태화산 경관숲의 푸르름 속으로 떠나 보면 어떨까? 특히 늦가을엔 하늘거리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9.10

생명의 숲(65), 100대 명품숲 ‘남해 봉화리 편백숲’

이 아름다운 풍경이 한껏 펼쳐진 한려해상국립공원 북단 삼동면에 남해 편백숲이 자리하고 있다. 이 숲에서는 빼어난 바다의 경관과 주변 자연경관을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으며 울창한 편백나무와 함께 소나무, 단풍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운치가 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생명의 숲(65), 100대 명품숲 ‘남해 봉화리 편백숲’국립남해편백자연휴양림(동영상 출처=국립자연휴양림)아름다운 남해 바다와 울창한 편백나무가 어우러진 힐링 숲, ‘남해 봉화리 편백숲’은 산림청이 2023년 산림녹화 50주년을 맞아 발표한 우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9.10

새를 찾아서, 가장 작은 딱따구리 ‘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학명: Dendrocopos kizuki)는 전국에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인가 주변의 야산에서 높은 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쇠딱따구리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딱따구리 조류에서 가장 작은 새의 종임을 알 수 있듯이 딱따구리류와 달리 큰나무가 없는 숲에서도 번식한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35095

카테고리 없음 2021.07.11

새를 찾아서, 국제적 멸종위기종 ‘초원수리’-맹금류(17)

매목 수리과의 초원수리(Steppe Eagle/ 학명Aquila nipalensis)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국내에는 매우 드물게 도래하는 겨울철새 또는 통과철새이다. 반사막, 초지, 농경지 등 나무가 없는 넓은 개활지에 서식하는 종이라 초원수리로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주로 땅위를 선호하나 서식지가 변화함에 따라 덤불 위나 나무 위에 둥지를 짓기도 한다. 소형 포유류나 조류를 사냥하며, 썩은 사체도 먹는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em=1687&no=34103

카테고리 없음 20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