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누리 172

봄의 요정, 변산바람꽃 개화!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은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지어진 한국특산종이다. 산지 계곡이나 숲속 습기 있는 곳에서 자라며 2~4월에 꽃 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 속 덩이뿌리에서 줄기와 꽃받침이 나오고 높이 5~8cm이고 잎은 길이와 폭이 약 3~5cm 이다. 그린매일 봄의 요정, 변산바람꽃 개화!변산바람꽃 군락지(사진=변산반도국립공원)봄의 요정!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깃대종인 변산바람꽃을 비롯하여 복수초, 노루귀 등의 봄꽃들이 개화하기 시작했다고 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사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3.12

2월 단상, 호랑가시나무 붉은 열매

눈이 온통 하얗게 뒤덮인 숲에서는 빨갛게 익어 반들거리는 호랑가시나무 열매들이 유난히 반짝인다. 호랑가시나무는 겨울철 차가운 공기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푸르름으로 우리에게 희망과 생명력을 상기시키며 ‘겨울의 왕’으로 알려져 있다.그린매일 2월 단상, 호랑가시나무 붉은 열매▲호랑가시나무 열매. 사진=한라생태숲하얀 눈이 소복히 쌓여 있는 겨울의 끝자락 한라생태숲. 꽁꽁 얼어붙은 수생식물원에선 갈대와 억새들이 쉼 없이 바람에 흔들린다. 눈이 온통 하얗게 뒤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3.12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은 마타리과(Valeria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어린순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이나 식물성 방향유로 활용되고 있다. 말린 뿌리를 한의약에서 길초근(吉草根)이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심신불안, 불면증, 진통제 등으로 사용됐다. 이 식물은 특유의 향이 쥐 오줌 냄새와 비슷해 ‘쥐오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말은 ‘정열, 허풍쟁이’이다.그린매일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쥐오줌풀 전초. 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쥐오줌풀 뿌리(길초근) 추출물의 수면개선 및 피부건강 기능성을 활용한 잠자기 전에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이 개발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10

[연재] 슬픈 꽃말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꽃‧잎이 따로 피는 ‘상사화’

상사화(相思花)는 수선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Lycoris squamigera이다. 꽃과 잎이 다른 시기에 피어, 서로 만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너무 사랑하지만 만날 수 없는 연인에 빗대어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가꾸기도 한다. 꽃말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다.그린매일  [연재] 슬픈 꽃말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꽃‧잎이 따로 피는 ‘상사화’전북 위도와 서남해안 섬 지역에 서식하는 '위도상사화', 사진=국립수목원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2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상사화속(Lycoris) 식물’을 선정했다.상사화(相思花)는 수선화과에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10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

고리도롱뇽의 전체 몸길이는 7~14㎝로 도롱뇽, 제주도롱뇽과 형태는 비슷하나 몸집이 작고, 꼬리 길이가 몸통 길이와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고리도롱뇽은 부산시 기장군 고리발전소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울산, 경남 양산, 경북 경주시 등 경상도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한반도 희귀종이다. 그린매일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고리도룡뇽(주왕산국립공원), 사진=국립공원공단지난달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도룡뇽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9개체가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고리도롱뇽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주왕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104), 청사년에 어울리는 푸른 빛의 '넓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은 몸길이 80~120cm, 약 1.2kg으로 등면은 짙은 청색 또는 담청색 바탕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다른 큰바다뱀류에 비해 줄무늬 개수가 적고 두꺼운 것이 특징이며, 등쪽이 넓고 배쪽이 얇아 옆면에서 볼 때 몸 전체에 푸른빛이 나는 ‘V’자 모양이다. 그린매일해양수산부가 2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넓은띠큰바다뱀(Laticauda semifasciata)을 선정했다.넓은띠큰바다뱀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다뱀 5종"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no=104435" data-og-u..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6천에서 1만 5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범주인 취약(VU) 등급으로 지정했다. 환경부도 흑두루미를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천수만 흑두루미의 군무 @그린매일/신봉우환경부가 2월의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겨울 철새인 흑두루미를 선정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7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눈밭 질주하는 '멸종위기 담비' 가족 등 국립공원 야생동물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이번에 촬영된 영상은 각 국립공원 현장에서 멸종위기종 등 야생동물 관측을 통해 확보한 귀중한 자료”라며, “앞으로도 국립공원 자연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서식지를 더욱 잘 살피고 보전하겠다”라고 말했다.그린매일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설 연휴를 맞아 겨울철 눈밭을 뛰어다니는 담비 가족, 하늘다람쥐를 사냥하는 긴점박이올빼미 등 국립"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no=104401" data-og-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

생태누리 2025.02.01

알고 키우세요!‧‧‧ 2024년 지정 유입주의 생물은?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외래생물의 국내 유입 사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유입주의 생물 150종 자료집 Ⅵ’을 발간하여 1월 31일부터 관세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각 대학 도서관에 배포한다고 밝혔다.그린매일 알고 키우세요!‧‧‧ 2024년 지정 유입주의 생물은?# ‘악어풀(Alternanthera philoxeroides)’, 국제적으로 생태계위해성이 확인된 종 (일본, 중국, EU, 포르투갈, 스페인, 호주, 뉴질랜드,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특이한 반려생물 수요 증가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1

멸종시대(91), 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리산 반달가슴곰’

환경부는 자연상태에서의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 외부에서 추가적인 개체 도입이 없으면 가까운 시일 내 국내에서 멸종할 것으로 판단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증식‧복원사업은 한반도 내에 서식했던 반달가슴곰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반달가슴곰 6마리를 지리산 권역에 방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멸종시대(91), 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리산 반달가슴곰’반달가슴곰,전남 구례 생태학습장 활동사진(2016.05.) /국립공원공단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반달가슴곰을 10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반달가슴곰은 70여 년 전까지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