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새 8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6천에서 1만 5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범주인 취약(VU) 등급으로 지정했다. 환경부도 흑두루미를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천수만 흑두루미의 군무 @그린매일/신봉우환경부가 2월의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겨울 철새인 흑두루미를 선정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7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새를찾아서, 방울새 중 가장 작은 '검은머리방울새'

참새목 되새과의 검은머리방울새는 4월까지 볼 수 있는 겨울 철새다. 한반도 전역의 산지 숲에서 무리 지어 산다. 우는 소리가 아름다워 애완용으로도 기르던 새다. 최근에는 드물게 볼 수 있다. 번식지에서는 향나무와 같은 침엽수림을 좋아한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em=1695&no=34814

카테고리 없음 2021.05.04

새를 찾아서, 북한의 국조 ‘참매’-맹금류(10)

매목 수리과의 참매(Northern Goshawk /학명 Accipiter gentilis)는 드문 겨울 철새로 매 종류 중 가장 크다. 수리류 중 붉은배새매·새매·개구리매와 매과의 황조롱이·매의 2종과 한데 묶어 1982년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분류된 제323-1호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page=2&no=33935

카테고리 없음 2020.11.12

새를 찾아서, 텃새로 살아가는 '뿔논병아리'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7&category=1639&no=33443 새를 찾아서, 텃새로 살아가는 '뿔논병아리' 뿔논병아리는 해안 앞바다와 내륙의 호수가 갈대밭에 서식하는 겨울 철새지만 일부 개체가 충남 서산 천수만, 경기도 안산시 시화호, 경기도 양평 등에서 번식하고 있다. 둥지는 갈대, 줄 등이 �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