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새 10

새를 찾아서, 멸종위기종 노랑부리백로 ‘생태 비밀’ 풀었다

사다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노랑부리백로는 백령도 등 우리나라 서해안 일대의 섬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등에서 겨울을 보내는 흔하지 않은 여름철새다. 전 세계 생존집단이 약 3,000여 개체인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집에 취약종, 우리나라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35072

카테고리 없음 2021.07.11

새를 찾아서, '솟적다' 희망의 노래를 부르렴 '소쩍새'-맹금류(26)

소쩍새는(Eurasian Scops Owl. 학명 Otus sunia) 올빼미과의 야행성 맹금류다. 봄철에 한국에 와서 여름에 새끼를 키우고 가을에 동남아 등으로 가는 전국적으로 서식하던 흔한 여름 철새였지만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줄어들어 지금은 관찰이 쉽지 않다. 소쩍새는 1982년 올빼미·수리부엉이·솔부엉이·쇠부엉이·칡부엉이·큰소쩍새 등 7종과 한데 묶어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분류된 제324-3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em=1695&no=34527

카테고리 없음 2021.03.09

여름철새 벙어리뻐꾸기 4천여 km 이동 ‘인도네시아 월동’

우리나라에서 번식한 벙어리뻐꾸기(Oriental cuckoo, Cuculus optatus)가 필리핀을 거쳐 인도네시아 동부까지 4천여 km 이상 이동하여 월동하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지난해 5월부터 약 9개월간 이동경로를 추적한 결과다. 두견이목 두견이과에 속하는 여름철새 벙어리뻐꾸기는 새끼를 스스로 기르지 않고 다른 종이나 다른 개체의 둥지에 알을 낳아 다른 개체가 자신의 새끼를 기르게 하는 번식 방법인 탁란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번식하는 종이다. 동유럽에서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 호주 북동부까지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5월부터 날아와 번식한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

카테고리 없음 2021.03.02

새를 찾아서, 계룡산에 둥지 튼 여름철새 ‘호반새’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6&category=1639&no=33500 새를 찾아서, 계룡산에 둥지 튼 여름철새 ‘호반새’ 계룡산에서 2020. 6. 16일 포칙된 호반새 모습 우리나라를 드물게 찾아오는 여름철새인 호반새의 모습을 계룡산에서 지난 6월 16일 포착했다고 국립공원공단이 8일 밝혔다. 호��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05

새를 찾아서, 이른 아침 숲을 깨우는 ‘되지빠귀’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6&category=1639&no=33481 새를 찾아서, 이른 아침 숲을 깨우는 ‘되지빠귀’ 되지빠귀 수컷 ⓒ그린매일참새목 지빠귀과의 새인 되지빠귀는(학명 Sturnia sinensis, 영명Grey-Backed Thrush)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흔한 여름철새입니다. 한국, 러시아 극동, 중국 등지에서 여름철 번식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05

새를 찾아서, 아프리카 소식 전하는 '뻐꾸기'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7&category=1639&no=33452 새를 찾아서, 아프리카 소식 전하는 '뻐꾸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름철새 뻐꾸기가 직선거리로 약 1만 km 떨어진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대륙까지 이동하여 겨울을 보낸 후 여름철 우리나라로 돌아와 번식하는 사실이 환경부 소속 국립생�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