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9

[연재] 잡초 ‘하늘지기’의 환골탈퇴‧‧‧화장품 원료로 변신

담수식물인 하늘지기(Fimbristylis dichotoma (L.) Vahl)는 논 등의 경작지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사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하늘지기의 처음 이름은 1937년 정태현 박사에 의하여 ‘하늘직이’로 기재되었다. 이는 ‘하늘’과 ‘직이’의 합성어로 하늘로 치솟아 난, 또는 허공에 점을 찍어 놓은 듯한 이삭꽃차례의 형상을 나타낸 일본명 텐쭈끼(天突, 点突)에서 유래한 이름이란다.그린매일 [연재] 잡초 ‘하늘지기’의 환골탈퇴‧‧‧화장품 원료로 변신하늘지기(사진=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국내 전역의 습지에서 서식하는 잡초 하늘지기가 화장품 원료로 변신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하늘지기의 추출물을 국제화장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3.12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은 마타리과(Valeria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어린순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이나 식물성 방향유로 활용되고 있다. 말린 뿌리를 한의약에서 길초근(吉草根)이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심신불안, 불면증, 진통제 등으로 사용됐다. 이 식물은 특유의 향이 쥐 오줌 냄새와 비슷해 ‘쥐오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말은 ‘정열, 허풍쟁이’이다.그린매일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쥐오줌풀 전초. 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쥐오줌풀 뿌리(길초근) 추출물의 수면개선 및 피부건강 기능성을 활용한 잠자기 전에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이 개발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10

화장품 용기 90% “재활용 어려움”…‘리필 재사용’ 체계 급선무

소비자가 제대로 분리배출해도 화장품 용기의 90%가 재활용되지 않는 현실에서 화장품 용기 재사용 문화는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소독된 용기를 대여하거나 자기 용기에 리필해 주는 ‘알맹상점’은 올해 1월 한 달 동안 판매한 리필제품이 총 97,000리터로, 100리터 용기 970개의 사용을 줄였다고 한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352&category=1671&no=34468

카테고리 없음 2021.02.23

맴 돌기만 하는 화장품 용기 재활용의 현주소!

재활용 정책이 유독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산업이 있다. 화장품 플라스틱 재활용 어려움 90%, 화장품 용기 재질개선이 시급한 화장품 업계다. 그래서 재활용 정책이 한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화장품 용기 재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화장품 용기는 성분과 기능에 따라 유리, 플라스틱,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혼합 사용되고 있어 화장품 용기의 90%는 복합재질 및 기타(OTHER)로 재질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년 전 환경부는 포장재 재활용률 제고를 위해 를 도입했고, 2021년 3월 24일부터 제도가 시행된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352&category=1671&no=34435

카테고리 없음 2021.02.18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선언, 실효성은?

대한화장품협회는 27일 ‘재활용어려움 제품 100% 제거, 석유기반 플라스틱 사용 30% 감소, 리필 활성화, 판매한 용기의 자체 회수 노력 등’을 통한 화장품 플라스틱 포장재의 개선을 통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를 실현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화장품 업계에서 가장 우선해야 하는 과제는 플라스틱 감량이며, 이에 대한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는 선언은 말 그대로 선언에 그칠 뿐이라고 단체는 지적했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352&category=1671&no=34356

카테고리 없음 2021.01.28

경기도, 벌노랑이 추출물에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천연물연구팀은 벌노랑이 추출물에서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을 확인하고 2019년 12월 특허 출원 및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해 정식 화장품 원료로 인정받았다. 이로써 국내 천연물을 원료로 한 미백기능성 화장품 상용화의 가능성이 열렸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28&category=1679&no=34214 경기도, 벌노랑이 추출물에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벌노랑이경기도는 국내 자생식물인 벌노랑이 추출물에서 미백 기능을 확인,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는 국내 자생하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12.28

콩제비꽃,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효과…화장품 변신’

전국 산과 들의 습지에서 흔하게 자라는 콩제비꽃이 탈모 증상을 완화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변신한다. 제비꽃과의 콩제비꽃(학명 Viola verecunda A.Gray)은 4~5월에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전초(全草)를 소독초(消毒草)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page=4&section=258&category=259&no=34031

카테고리 없음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