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은 수도권 최초의 내륙습지 보호지역으로 2006년 4월 17일 환경부가 지정했다. 한강하구 신곡수중보~강화군 송해면 숭뢰리에 이르는 면적 60.668㎦로 파주·고양·김포·강화 등 한강하구에 위치한 4개의 지자체가 포함된다.
한국의습지(72), 기수역의 생태보고 ‘한강하구 습지’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내, 장항습지 조수로와 노을 풍경(사진=고양시)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서 습지의 기능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15일 한강유역환경청이 한강하구 습
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기말 생물 종 10% 이상이 사라진다 (0) | 2022.12.18 |
---|---|
산림문화유산 노거수(18) -청정자연 문화예술의 도시, 광주시(보호수) (0) | 2022.12.17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강한 ‘붓순나무 추출물’ 발견 (0) | 2022.12.16 |
멸종위기종(41), 160 마리 정도 서식이 확인된 텃새 ‘양비둘기’ (0) | 2022.12.15 |
추운 계절 茶 한 잔의 깨달음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