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하공 경기도 보호수 관리지원센터장은 “오랜 역사와 생태적 가치를 가진 보호수의 피해가 발생하여 고사하는 사례를 보면 안타깝다”라면서 “경기도 보호수 관리지원센터의 역할이 보호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하며, 각 지자체에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생태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위기종(78) 산림생태계 건강성 지표종 ‘하늘다람쥐’ (0) | 2024.04.21 |
---|---|
멸종위기종 점박이물범, 한반도 서해안 야생 번식 가능성 제기 (0) | 2024.04.21 |
제주 자생 덩굴식물 송악, 밀원 가치 우수! (0) | 2024.03.13 |
[연재] 제주 봄을 알리는 멸종위기 희귀식물 ‘초령목’ (0) | 2024.03.13 |
포근한 날씨, 활짝 부푼 하얀꽃 ‘붓순나무’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