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이보라 박사는 “현재 제주에서 초령목 자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미기상 관측 등이 진행되고 있다”며 “멸종위기종이면서 희귀식물인 초령목의 자생지 보전과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생태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중한 자연자산 ‘경기도 보호수 1,047본’‧‧‧체계적 관리 지원 (0) | 2024.03.13 |
---|---|
제주 자생 덩굴식물 송악, 밀원 가치 우수! (0) | 2024.03.13 |
포근한 날씨, 활짝 부푼 하얀꽃 ‘붓순나무’ (0) | 2024.02.22 |
동물의 꼬리를 닮은 ‘꼬리풀꽃’ (0) | 2024.02.22 |
국립공원, 봄의 전령사 활짝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