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땅 67

자연과 역사(57), 피난살이 섬 대이작도의 백미 ‘모래섬 풀등’

대이작도에는 이곳을 오가는 뱃사람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대이작항방파제등대가 이작도 밤바다를 밝혀준다. 해양수산부 ‘2월 이달의 등대’로 선정된 이 등대는 2023년 설치되어 5초 간격으로 녹색 불빛을 깜빡이며 대이작도, 소이작도 인근을 지나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린매일 자연과 역사(57), 피난살이 섬 대이작도의 백미 ‘모래섬 풀등’이작도 풀등 모래섬, 사진=옹진군이작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한 섬으로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로 나뉘어져 있다. 이 섬은 예로부터 임진왜란이나 기타 국난이 있었을 때에 육지에서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10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 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4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부산 낙동강하구’

낙동강하구는 매년 170종 약 7만 마리의 철새가 찾아오는 철새들의 낙원으로, 세계 철새의 3대 이동 경로 중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서 동남아시아를 종단하는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그린매일부산 사하구와 강서구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강원도 태백에서 시작하여 부산에 도착하는 국내 가장 긴 국가하천인 낙동강이 바"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4418" data-og-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category=1639&no=104418&section..

생명의땅 2025.02.04

생명의 숲(82), 흰눈으로 겨울이 더 짙어지는 ‘화순 무등산 편백숲’

산림 분야 최고의 영예로 일컬어지는 ‘숲의 명예전당’에 헌정된 고(故) 진재량 독림가가, “미래 세대에게 살기 좋은 환경을 남겨주려면 숲을 만들고 가꿔야 한다”라는 신조로 화순과 담양 일대에 667ha의 편백과 삼나무 숲을 조성해 오늘에 이르렀다. 그린매일전라남도 화순 무등산편백자연휴양림의 편백숲은 무등산국립공원 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광주광역시와 화순군에서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4381" data-og-url="https://www.greenmaeil.co.kr/news..

생명의땅 2025.02.01

자연과 역사(56), 동강 청정 수계지역인 ‘평창 어름치 마을’

1월에 평창군을 방문하면 어름치 마을 외에 돌문화체험관, 광천선굴어드벤처테마파크, 웰컴투동막골 촬영세트장, 대관령눈꽃축제(1.24~2.2) 등 다양한 관광지도 둘러볼 수 있다. 그린매일 자연과 역사(56), 동강 청정 수계지역인 ‘평창 어름치 마을’평창 동강.사진=환경부환경부가 2025년 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위치한 ‘어름치 마을’을 선정했다.‘어름치 마을’은 동강을 중심으로 절경을 자랑하는 산들이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1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부산 낙동강하구’

낙동강하구는 매년 170종 약 7만 마리의 철새가 찾아오는 철새들의 낙원으로, 세계 철새의 3대 이동 경로 중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서 동남아시아를 종단하는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모래톱과 주변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어, 철새 및 이동 중인 나그네새의 중간 기착지로 1년 내내 다양한 철새를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국내 대표적인 철새도래지다.그린매일부산 사하구와 강서구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강원도 태백에서 시작하여 부산에 도착하는 국내 가장 긴 국가하천인 낙동강이 바"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4418..

생명의땅 2025.02.01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1

한국의 습지, 철새들의 보금자리 ‘서천, 금강하구와 유부도’

‘금강하구와 유부도’는 봄·가을엔 도요물새류가, 겨울엔 청둥오리 및 흰뺨검둥오리 등 매년 10만 마리가 넘는 새들이 찾아오는 대표적인 철새도래지다. 특히, 유부도는 금강과 서해가 만나는 자리에 모래펄이 쌓여 만들어진 작은 섬이지만 간조 때에는 섬 면적 20배 이상의 갯벌이 모습을 드러낸다.그린매일 한국의 습지, 철새들의 보금자리 ‘서천, 금강하구와 유부도’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전경/ 서천군환경부는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충청남도 서천군에 위치한 ‘금강하구와 유부도’를 선정했다고 밝혔다.금강하구와 유부도는 철새들이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1.27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창녕 우포늪'

우포늪은 그 가치가 인정되어 1997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됐으며, 환경부가 1999년 생태·경관보전지역을 해제하며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또한2011년 1월 13일 자연보존이 잘 유지된 지역 3.44㎢를 문화재청이 천연기념물 524호로 지정했다. 국제적으로도 1998년 우리나라에서는 대암산 용늪에 이어 2번째로 람사르 습지로 등록됐으며, 2018년 10월 25일에는 세계최초로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받았다.그린매일원시의 저층늪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 일대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토평천 유역에 약 1억 4천만 년 전 한반도가 생성될 시기에"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

생명의땅 2025.01.27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문경 돌리네’

‘문경 돌리네’는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되는 돌리네와 달리 석회암의 풍화 토양인 테라로사(terra rossa)가 바닥에 쌓여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습지를 이루는 지역이다. 따라서 연중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지되어 돌리네 지형에서 논농사를 짓는 곳으로 국내 유일하며,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습지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그린매일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문경 돌리네’‘문경 돌리네’ 습지 홍보 영상/출처=문경시‘문경 돌리네’ 습지는 문경시 굴봉산(399m) 정상부(270~290m)에 형성된 호소형 산지습지로 국내 유일의 석회암지대 습지이며, 세계적으로도 매우 희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