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11

눈 속에 핀 얼음새꽃, 남녘의 봄소식을 전하다!

세복수초(Adonis multiflora Nishikawa & Koji)는 봄을 알리는 제주의 대표적인 자생식물로, 일반적으로 2월에서 4월 사이에 개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린매일 눈 속에 핀 얼음새꽃, 남녘의 봄소식을 전하다!한라산 세복수초 (사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지난 14일, 한라산 주변 세복수초 자생지에서 눈 속을 뚫고 노란 꽃망울을 내밀며 봄의 전령사 세복수초가 올해 첫 봄맞이를 시작했다고 국립산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5.03.12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 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4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1

[연재] 겨울 턱밑까지, 노란 그리움을 담아내는 ‘털머위’

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한라생태숲 12월, 겨울이 오는 것을 질투라도 하듯이 노란색 꽃망울을 터뜨리고 눈길을 끄는 야생화가 있다. 숲이 겨울 채비에 들어서면서 추위가 옷깃으로 파고드는 시기인데도 녹색 광택의 잎 위로 꿋꿋하게 꽃대를 세운 황금빛 꽃차례가 따뜻함을 느끼게 하는 털머위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연재] 겨울 턱밑까지, 노란 그리움을 담아내는 ‘털머위’ 초겨울 추위를 씻어주는 털머위와 멋장이 나비의 콜라보(사진= 한라생태숲)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한라생태숲 12월, 겨울이 오는 것을 질투라도 하듯이 노란색 꽃망울을 터뜨리고 눈길을 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2.12.05

우리땅 야생화, 토종 무궁화 “황근”을 아시나요!

황근(黃槿)은 글자 그대로 노란 꽃이 피는 무궁화다. 우리나라 꽃인 무궁화(근화 槿花)가 수입나무로 국내에 자생지가 없는 데 비해, 황근은 제주도 해안가에 자생하는 야생식물로 우리의 토종 무궁화다. 우리나라 꽃 무궁화를 황근으로 바꿔야 한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em=1640&no=35360

카테고리 없음 2021.08.05

탄소저장량이 우수한 붉가시나무, 다목적 산림자원으로 육성

붉가시나무 등 상록성 참나무류 육성을 위한 우량자원 선발은 2019년 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를 시작으로 2020년부터 붉가시나무로 확대하고 있으며, 우량개체 선발기법 연구성과는 산림분야 SCI 1등급 국제저널(Forests)에 발표(doi:10.3390/f11070735)된 바 있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2&category=1351&no=35012

카테고리 없음 2021.07.11

우리땅 야생화, 윷놀이 윷을 만든 ‘윤노리나무’

한라수목원 녹음이 짙어지는 녹색의 잎들과 함께, 한껏 흐드러지게 핀 꽃들로 계절의 숲이 제법 풍성해졌습니다. 윤노리 나무도 깔끔한 하얀색으로 복스럽게 꽃다발을 펼쳐놓았군요.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윤노리나무(Pourthiaea villosa Decne.)는 윷놀이 하는 ‘윷‘을 만들기에 알맞은 나무라 불리게 된 이름입니다. 소의 코뚜레에 이용되었기 때문에 ‘소코뚜레나무’라고도 불립니다. 제주에서는 ‘윤유리낭’이라고 하여 농기구인 ‘도리깨’를 만드는데 사용했던 나무라고 합니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em=1640&no=34881

카테고리 없음 2021.05.14

바다거북, 제주 백사장에서 산란의 희망을 담아 방류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item=&no=33784 바다거북, 제주 백사장에서 산란의 희망을 담아 방류 구조된 푸른바다거북해양수산부는 멸종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의 국내 서식지 복원을 위해 9월 11일(금) 제주 중문 색달해수욕장에서 바다거북 18마리를 방류한다고 10일 밝혔다.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