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자연상태에서의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 외부에서 추가적인 개체 도입이 없으면 가까운 시일 내 국내에서 멸종할 것으로 판단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증식‧복원사업은 한반도 내에 서식했던 반달가슴곰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반달가슴곰 6마리를 지리산 권역에 방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생태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밭 질주하는 '멸종위기 담비' 가족 등 국립공원 야생동물 (0) | 2025.02.01 |
---|---|
알고 키우세요!‧‧‧ 2024년 지정 유입주의 생물은? (1) | 2025.02.01 |
해양보호생물 바다거북, 제주바다 품에 안기다 (0) | 2024.09.10 |
[연재] 으아~ 감탄을 자아내는 아름다움 ‘큰꽃으아리’ (0) | 2024.09.10 |
멸종시대(90), 변산반도 백천에서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부안종개’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