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5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

고리도롱뇽의 전체 몸길이는 7~14㎝로 도롱뇽, 제주도롱뇽과 형태는 비슷하나 몸집이 작고, 꼬리 길이가 몸통 길이와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고리도롱뇽은 부산시 기장군 고리발전소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울산, 경남 양산, 경북 경주시 등 경상도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한반도 희귀종이다. 그린매일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고리도룡뇽(주왕산국립공원), 사진=국립공원공단지난달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도룡뇽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9개체가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고리도롱뇽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주왕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16:34:14

멸종시대(104), 청사년에 어울리는 푸른 빛의 '넓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은 몸길이 80~120cm, 약 1.2kg으로 등면은 짙은 청색 또는 담청색 바탕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다른 큰바다뱀류에 비해 줄무늬 개수가 적고 두꺼운 것이 특징이며, 등쪽이 넓고 배쪽이 얇아 옆면에서 볼 때 몸 전체에 푸른빛이 나는 ‘V’자 모양이다. 그린매일해양수산부가 2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넓은띠큰바다뱀(Laticauda semifasciata)을 선정했다.넓은띠큰바다뱀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다뱀 5종"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no=104435" data-og-u..

생태누리 16:31:30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6천에서 1만 5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범주인 취약(VU) 등급으로 지정했다. 환경부도 흑두루미를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천수만 흑두루미의 군무 @그린매일/신봉우환경부가 2월의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겨울 철새인 흑두루미를 선정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7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16:28:21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 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16:26:05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부산 낙동강하구’

낙동강하구는 매년 170종 약 7만 마리의 철새가 찾아오는 철새들의 낙원으로, 세계 철새의 3대 이동 경로 중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서 동남아시아를 종단하는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그린매일부산 사하구와 강서구에 위치한 낙동강하구는 강원도 태백에서 시작하여 부산에 도착하는 국내 가장 긴 국가하천인 낙동강이 바"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4418" data-og-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category=1639&no=104418&section..

생명의땅 16: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