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17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양산 화업늪’

천성산 정상부에 내린 빗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흐르다 경사가 완만하고 풍화침식 후 점토가 퇴적한 능선 부분에 지하수가 용출되며 만들어진 작은 규모의 고산습지다.그린매일경상남도 양산시 천성산(922m)은 양산의 최고 명산으로 양상 8경 중 한 곳이다. 원효산과 천성산을 명칭 변경하여 천성산 제1봉과 제2봉으로 각각 "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4477" data-og-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category=1639&no=104477&sec..

생명의땅 2025.02.10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은 마타리과(Valeria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어린순은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이나 식물성 방향유로 활용되고 있다. 말린 뿌리를 한의약에서 길초근(吉草根)이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심신불안, 불면증, 진통제 등으로 사용됐다. 이 식물은 특유의 향이 쥐 오줌 냄새와 비슷해 ‘쥐오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말은 ‘정열, 허풍쟁이’이다.그린매일 [연재] 쥐오줌풀 뿌리의 변신‧‧‧피부 개선 화장품으로 선보인다쥐오줌풀 전초. 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쥐오줌풀 뿌리(길초근) 추출물의 수면개선 및 피부건강 기능성을 활용한 잠자기 전에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이 개발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10

생명의 숲(84), 삼나무의 힘찬 기운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장생의 숲’

절물오름은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큰 봉우리는 큰대나, 작은 봉우리는 족은대나로 불린다. 대나의 뜻은 알 수 없으나 절물오름 이전의 호칭인 듯하다. 절물오름은 해발 697m이며, 오름 옆구리에 둥근 화구가 남아 있는 특이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그린매일 생명의 숲(84), 삼나무의 힘찬 기운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장생의 숲’제주 절물자연휴양림 장생의 숲, 사진=산림청절물오름(697m)은 제주시 봉개동 중산간 지역에 솟은 듬직하고 높다란 오름으로 절물자연휴양림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기생화산 분화구인 절물오름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10

자연과 역사(58), 통영시 견내량의 무인도서 사도와 선촌마을

사도는 통영시 통영항 동쪽 견내량 해협 중심부에 위치하며, 육지인 선촌마을로부터 불과 0.8km 떨어져 있다. 섬은 고도 약 5m, 길이 200m, 면적 1,261㎡이다. 북동쪽으로 길이 100m, 폭 10n 정도의 모래해안이 분포하며, 섬의 남서쪽에서는 층상구조가 잘 보이는 응회암이 분포한다.그린매일 자연과 역사(58), 통영시 견내량의 무인도서 사도와 선촌마을통영시 견내량 전경(사도와선촌마을), 사진=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해양수산부가 2025년 2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견내량에 위치한 사도(뱀섬)를 선정하였다. 견내량은 임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10

[연재] 슬픈 꽃말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꽃‧잎이 따로 피는 ‘상사화’

상사화(相思花)는 수선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Lycoris squamigera이다. 꽃과 잎이 다른 시기에 피어, 서로 만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너무 사랑하지만 만날 수 없는 연인에 빗대어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가꾸기도 한다. 꽃말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다.그린매일  [연재] 슬픈 꽃말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꽃‧잎이 따로 피는 ‘상사화’전북 위도와 서남해안 섬 지역에 서식하는 '위도상사화', 사진=국립수목원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2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상사화속(Lycoris) 식물’을 선정했다.상사화(相思花)는 수선화과에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10

자연과 역사(57), 피난살이 섬 대이작도의 백미 ‘모래섬 풀등’

대이작도에는 이곳을 오가는 뱃사람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대이작항방파제등대가 이작도 밤바다를 밝혀준다. 해양수산부 ‘2월 이달의 등대’로 선정된 이 등대는 2023년 설치되어 5초 간격으로 녹색 불빛을 깜빡이며 대이작도, 소이작도 인근을 지나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린매일 자연과 역사(57), 피난살이 섬 대이작도의 백미 ‘모래섬 풀등’이작도 풀등 모래섬, 사진=옹진군이작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한 섬으로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로 나뉘어져 있다. 이 섬은 예로부터 임진왜란이나 기타 국난이 있었을 때에 육지에서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10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

고리도롱뇽의 전체 몸길이는 7~14㎝로 도롱뇽, 제주도롱뇽과 형태는 비슷하나 몸집이 작고, 꼬리 길이가 몸통 길이와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고리도롱뇽은 부산시 기장군 고리발전소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울산, 경남 양산, 경북 경주시 등 경상도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한반도 희귀종이다. 그린매일  멸종시대(105),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 ‘주왕산국립공원’ 확인고리도룡뇽(주왕산국립공원), 사진=국립공원공단지난달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도룡뇽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9개체가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고리도롱뇽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주왕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104), 청사년에 어울리는 푸른 빛의 '넓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은 몸길이 80~120cm, 약 1.2kg으로 등면은 짙은 청색 또는 담청색 바탕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다른 큰바다뱀류에 비해 줄무늬 개수가 적고 두꺼운 것이 특징이며, 등쪽이 넓고 배쪽이 얇아 옆면에서 볼 때 몸 전체에 푸른빛이 나는 ‘V’자 모양이다. 그린매일해양수산부가 2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넓은띠큰바다뱀(Laticauda semifasciata)을 선정했다.넓은띠큰바다뱀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다뱀 5종"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s://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no=104435" data-og-u..

생태누리 2025.02.04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6천에서 1만 5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범주인 취약(VU) 등급으로 지정했다. 환경부도 흑두루미를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고 있다.그린매일 멸종시대(103), 흰 두건을 쓴 겨울 진객 ‘흑두루미’천수만 흑두루미의 군무 @그린매일/신봉우환경부가 2월의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겨울 철새인 흑두루미를 선정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7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5.02.04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이승이오름숲의 주요 수종은 1970년대에 조림된 우량 삼나무숲과 왕벚나무·산딸나무가 31.5ha 면적에 펼쳐져 있다. 산림청이 이곳의 숲을 100대 명품숲으로 선정했다. 그린매일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이승이오름 삼나무숲 설경, 사진= 제주관광공사서귀포시 이승이오름(539m)은 제주 동남쪽 중산간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시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움푹 파인 말발굽형 분화구를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