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물오름은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큰 봉우리는 큰대나, 작은 봉우리는 족은대나로 불린다. 대나의 뜻은 알 수 없으나 절물오름 이전의 호칭인 듯하다. 절물오름은 해발 697m이며, 오름 옆구리에 둥근 화구가 남아 있는 특이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생명의 숲(84), 삼나무의 힘찬 기운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장생의 숲’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장생의 숲, 사진=산림청절물오름(697m)은 제주시 봉개동 중산간 지역에 솟은 듬직하고 높다란 오름으로 절물자연휴양림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기생화산 분화구인 절물오름
www.greenmaeil.co.kr
'생명의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양산 화업늪’ (0) | 2025.02.10 |
---|---|
자연과 역사(58), 통영시 견내량의 무인도서 사도와 선촌마을 (0) | 2025.02.10 |
자연과 역사(57), 피난살이 섬 대이작도의 백미 ‘모래섬 풀등’ (0) | 2025.02.10 |
생명의 숲(83), 원시의 비경을 담은 ‘서귀포 이승이오름 삼나무숲’ (0) | 2025.02.04 |
한국의 습지, 기후동행-생명의땅 ‘부산 낙동강하구’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