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라이프 546

상주 공검지- 논습지의 중요성을 알리는 습지

상주 공검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수달, 삵, 새호리기 등을 비롯해 원앙, 소쩍새 등 천연기념물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로 2011년 6월 환경부가 국내 최초 ‘논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공검지의 둘레 1.3km, 습지보호지역의 면적은 0.264㎢에 이른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경북 상주시 공검면에 위치한 호소성 습지인 ‘상주 공검지’는 약 1,400년 전 삼한시대 농사를 짓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전해오는 저수지다. 제천 의림지, 김"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it..

그린라이프 2024.06.16

생명의 숲(45), 500년이 넘는 숨결 ‘생물다양성 보고 광릉숲’

광릉숲은 국내에서 단위 면적당 가장 다양한 생물 종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2010년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산림청은 2024년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아 광릉숲을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으로 지정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광릉숲은 조선 제7대 왕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을 포함한 주변 30여만 평의 울창한 산림이다. 신록(新綠)의 광릉숲 풍경/산림청 무려 56" data-og-host="www.greenmaeil.co.kr" data-og-source-url="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639&no=102150" data-og-url..

그린라이프 2024.06.15

강화갯벌-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저어새의 번식지

문화재청은 2000년 갯벌보존과 저어새의 서식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강화갯벌을 천연기념물 제41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 면적은 약 463km²로 여의도의 52.7배에 달하며, 국내에서 단일 문화재지정 구역 중 가장 넓은 곳이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국의 습지(81), 저어새의 번식지 ‘강화갯벌’강화갯벌 전경(사진=강화군)강화갯벌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도의 남부지역과 석모도, 볼음도 등 주변의 섬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북한과의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개발로부터 비교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6.15

시흥갯벌- 자연상태의 나선형 내만 갯골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일원에 위치한 시흥갯벌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온 나선형의 내만 갯벌이다. 시흥갯벌은 자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내만 갯골의 아름다운 경관과 물새들의 서식·도래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어 2012년 해양수산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국의 습지(37) 시흥갯벌] 국내 유일의 나선형 내만 갯골시흥갯벌의 내륙 깊숙이 들어온 나선형의 내만 갯골 모습 ⓒ그린매일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일원에 위치한 시흥갯벌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온 나선형의 내만 갯벌이다. 시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6.15

신안갯벌- 국내 최대 규모의 습지보호지역

신안갯벌 습지보호지역은 신안군 전 지역에 위치하며 우수한 해양생태계와 경관의 보전가치가 높아 람사르습지(증도갯벌)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생태지역이다. 2021년 7월 26일에는 ‘한국의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됐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국의 습지(56), 국내 최대 규모의 습지보호지역 ‘신안갯벌’신안갯벌 전경신안군은 전라남도 서남단 해상교통의 요충지이며 북쪽으로 무안, 함평, 동쪽으로 목포, 남쪽으로 해남, 진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신안갯벌 습지보호지역은 신안군 전 지역에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6.15

서천갯벌- 철새들의 천국 유부도

서천갯벌은 자연 상태의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안사구와 모래갯벌이 잘 발달하여 아름다운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펄과 모래갯벌이 조화 있게 조성되어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해양수산부가 일대 68.09㎢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2008.01.30.)하였으며, 갯벌 중 15.3㎢가 국내에서는 13번째 람사르 습지로 등재(2010.09.09.)됐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6.15

고창갯벌- 국내 최초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해양수산부는 광활한 면적과 빼어난 경관, 유용수자원의 보고인 고창갯벌의 훼손을 방지하고 보존하기 위해 2007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다. 2010년에는 ‘고창·부안’의 공동 지역명으로 우리나라 습지 중 가장 큰 규모인 45.5㎢(고창면적 40.5㎢)의 면적이 람사르 습지에 등록됐으며, 2021년 7월 26일 ‘한국의 갯벌’ 연속유산으로 고창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됨으로 세계적으로도 갯벌의 가치를 인정받았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국의 습지(34) 람사르 고창갯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서해안 고속도로 선운산IC로 빠져나와 사계절 아름다운 경치로 사랑받는 선운산도립공원을 뒤로하고, 갈대 우거진 갯골이 보이는 길을 따라 달리다 보면 칠면초로 붉게 물들은 드넓은 갯벌이www...

그린라이프 2024.06.15

부안줄포만 갯벌- 자연이 살아 있는 생태체험관

부안줄포만갯벌은 수심이 낮고 주로 펄 갯벌로 되어 있어 자연성이 우세하며, 희귀철새 도래·서식지 등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는 귀중한 자연 자산으로 해양수산부가 2006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다. 국제적으로도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한 습지로 인정받아 2010년 람사르습지로 등록됐다. 등록 면적은 4.9㎢이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국의 습지(33) 람사르 부안줄포만갯벌] 자연이 살아 있는 생태체험관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경계를 이루는 곰소만을 따라 들어가면 동쪽으로 길게 만입된 반폐쇄적인 내만의 가장 우측인 부안군 줄포면, 보안면 일원의 ‘부안줄포만갯벌’이 모습을 드러낸다www.greenmaeil.co.kr

그린라이프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