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9

멸종시대(91), 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리산 반달가슴곰’

환경부는 자연상태에서의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 외부에서 추가적인 개체 도입이 없으면 가까운 시일 내 국내에서 멸종할 것으로 판단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증식‧복원사업은 한반도 내에 서식했던 반달가슴곰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반달가슴곰 6마리를 지리산 권역에 방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그린매일 (greenmaeil.co.kr) 멸종시대(91), 10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리산 반달가슴곰’반달가슴곰,전남 구례 생태학습장 활동사진(2016.05.) /국립공원공단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반달가슴곰을 10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반달가슴곰은 70여 년 전까지www.greenmaeil.co.kr

생태누리 2024.10.03

지리산 반달가슴곰 올해 6마리 출산…야생에서 74마리 서식

한반도 생물종다양성을 제고하고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증식 복원종합계획에 근거하여 추진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이 17년이 흘렀다. 2004년 지리산 일대에 첫 방사를 시작한 이래, 올해 6마리가 태어남으로 현재까지 지리산, 덕유-가야산 일대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총 개체 수는 최소 74마리로 추정된다. http://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item=&no=34932

카테고리 없음 2021.05.25

아고산대 생태조사…‘인공지능 기술’로 새 지평 열어

우리나라 고유종인 구상나무를 포함한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 고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쇠퇴하고 있다. 하지만 아고산대 고사목 조사는 급경사지 등 위험지역으로 전문가의 접근이 불가능해 현황 및 원인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조사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이 아니라 막대한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여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카테고리 없음 2021.03.16

와일드라이프,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 백두대간 생태누리

백두대간(白頭大幹)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남으로 맥을 뻗어 금강산‧설악산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약 1,400km에 달하는 우리 산의 큰 산줄기를 총망라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반도 뼈대를 이루는 이 산줄기는 국토를 남북으로 내닫는 대동맥이며, 동해와 서해로 흐르는 물을 갈라놓는 대분수령이다. 삼국 시대에는 국경, 조선 시대에는 행정 경계를 구분 짓는 경계선의 기준이 됐으며, 각지의 언어와 풍습 등이 그 지역에 맞게 토착되는 역할과 기준이 되기도 했다. 즉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인문ㆍ 사회ㆍ문화ㆍ역사의 기반이며, 자연환경과 생태계의 중심축을 이루는 대표 산줄기로서 그 경관이 수려하여 금수강산이라 불렸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

카테고리 없음 2021.02.21

와일드 라이프, 지리산 반달가슴곰아 대청봉까지 달리자.

복원이 시작된 2004년 당시 각종 매체를 통하여 지리산 야생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초미의 관심사가 됐었다. 우리 산에도 곰이 산다?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까? 한반도에서 야생의 반달가슴곰이 마지막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83년 설악산 마등령에서 밀엽군의 총을 맞고 신음하며 죽은 곰이었다. 우리 삶의 일부였던 토종 곰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이미 사라졌고,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있어서 곰의 존재는 어린이 대공원에서나 볼 수 있던 우리 안에 갇힌 채 전시되었던 덩치가 큰 외래 곰들이 고작 다였다. 그냥 구경거리일 뿐이었다.

카테고리 없음 2021.02.21

지리산 북방산개구리, 지구온난화로 산란시기 점점 빨라져

지리산국립공원 구룡계곡 (남원 육모정) 일대에 사는 북방산개구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월에 산란한 것으로 관측됐다. 국립공원공단은 기후변화에 따라 국립공원의 생태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2010년부터 구룡계곡 일대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를 기록하고 있다. 구룡계곡에서 관측을 시작한 이후 1월에 산란이 확인된 것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다. 올해는 첫 관측을 시작한 2010년 2월 22일보다 27일이 빠른 1월 26일에 관측됐다.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category=1351&no=34420

카테고리 없음 2021.02.14

한반도 생태, 지리산과 내장산에서 담비의 사냥 모습 포착

www.greenmaeil.co.kr/news/view.html?section=158&page=10&category=1351&no=33297 한반도 생태, 지리산과 내장산에서 담비의 사냥 모습 포착 내장산국립공원 담비의 청설모 사냥 모습(‘20. 5. 10.)호랑이도 잡는다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는 대형포유류가 멸종된 우리 야생 생태계의 실질적 최상위 포식자다. 성체의 www.greenmaeil.co.kr

카테고리 없음 2020.09.04